맨위로가기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은 대구광역시의 도시 철도 노선으로, 1996년 1단계 구간 착공을 시작하여 2005년 10월 18일 1단계 구간(문양 ~ 사월)이 개통되었고, 2012년 9월 19일 2단계 구간(사월 ~ 영남대)이 개통되었다. 대실역부터 사월역까지의 구간은 달구벌대로 아래를 관통하며, 총 연장 31.4km, 29개 역으로 운행된다. 2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며, 문양역과 영남대역을 오가는 열차가 주를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도시철도 노선 - 대경선
    대경선은 구미역과 경산역을 잇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2024년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한국형 열차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고 2량 대형 전동차를 운행하며, 현재 2단계 구간 사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고 일부 교통카드는 호환되지 않는다.
  • 대구 도시철도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경산시를 잇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단계별 개통을 거쳐 현재 설화명곡역에서 하양역까지 운행하며 2호선,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향후 금호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 20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부산 북부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노선으로 수영역과 대저역을 잇고, 1, 2, 4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동해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한국 최초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했고, 현재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로 운영 중이다.
  • 20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장성화물선
    장성화물선은 전라남도 장성군에 있는 3.6km 길이의 한국철도공사 소속 화물 전용 철도 노선으로, 표준궤 단선에 ATS가 설치되어 있으며 안평역과 장성화물역 두 개의 무인역으로 구성되어 2005년 개통되었고 2019년에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서 운행되는 통근형 전동차이며, 2004년 10월부터 2005년 2월 사이에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어 6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연호역
    연호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2005년 개통 이후 인근 군부대 위치로 인해 승객 수가 가장 적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전동차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전동차
노선 종류도시 철도
노선 체계대구 도시철도
노선 상태운영 중
기점문양역
종점영남대역
역 수29
노선 길이31.4km
궤간1,435mm (표준궤)
선로 수복선
전철화 방식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신호 방식ATC/ATO
운영 최고 속도80km/h
차량 기지문양 차량 사업소
사용 차량현대로템 2000호대 전동차
개통 정보
개통일2005년 10월 18일 (문양 ~ 사월)
연장 개통일2012년 9월 19일 (사월 ~ 영남대)
운영 정보
소유자대구광역시
운영 기관대구교통공사

2. 역사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은 1996년 1단계 구간(문양~사월) 착공을 시작으로, 2005년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반월당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이후 2단계 구간(사월~영남대) 연장, 역명 변경, 스크린도어 설치 등 시설 개선이 이루어졌다.

2. 1. 연혁

3. 특징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은 섬식 승강장이 많아 승강장에서 바로 반대 방향 열차로 갈아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예산 낭비라는 비판도 있다. 한때 1호선보다 승객 수가 적었으나, 죽곡지구 신도시 개발에 따른 대실역 이용객 증가, 경산시 시내버스와의 통합 환승에 따른 사월역 이용률 증가[12], 영남대역 개업으로 1호선을 추월하여 이용객이 더 많아졌다.[13]

대부분의 역에서 개찰구를 통해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 27개 역[14]은 반대편 승강장과 횡단 가능한 구조이며, 섬식 승강장 19개 역[15]은 승강장에서, 상대식 승강장 8개 역[16]은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나머지 2개 역[17]은 개찰구가 분리되어 있어 개찰 없이는 반대편으로 이동할 수 없다.

2003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방화 참사 이후, 2호선은 개통 당시부터 모든 객차를 불연재 소재로 제작하여 운행하고 있다.

3. 1. 구조적 특징

대실역부터 사월역까지의 구간은 달구벌대로 아래를 관통한다. 달구벌대로에 고가도로[3]가 설치될 것을 염두에 두고 단선 병렬 터널 방식으로 건설되었으며, 승강장 가운데에 있는 기둥도 고가도로의 하중을 버티기에 충분하도록 건설되었다. 문양역, 사월역, 성서산업단지 ~ 연호 구간 등 29개 역들 중 19개 역들이 섬식 승강장이다. 대부분의 구간이 강창교[4], 수성교[5], 시지교[6], 신매교[7] 하저터널 깊이에 맞추어 설계되어서 문양역, 다사역, 정평역을 제외한 모든 역들이 지상에서 20m 이상의 깊이에 위치하여 깊은 편이며, 경산 연장 구간도 영대교[8] 하저터널로 연결되기 때문에 하저터널이 많은 노선이기도 하다.[9] 이곡역, 수성구청역, 대공원역은 깊이가 30m 이상이다.[10] 만촌동 소재의 2개 역[11]들과 시지 구간의 역들은 연호역, 사월역을 제외하고 모두 곡선형 승강장이어서 열차와 플랫폼 사이의 단차가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3. 2. 운영 특징

대실역부터 사월역까지의 구간은 달구벌대로 아래를 관통한다. 달구벌대로에 고가도로[3]가 설치될 것을 염두에 두고 단선 병렬 터널 방식으로 건설되었으며, 승강장 가운데에 있는 기둥도 고가도로의 하중을 버티기에 충분하도록 건설되었다. 문양역, 사월역, 성서산업단지~연호 구간 등 29개 역 중 19개 역이 섬식 승강장이다. 이 때문에 승강장에서 바로 반대 방향 열차로 갈아탈 수 있지만, 예산 낭비의 효과도 가져왔다. 대부분의 구간이 강창교[4], 수성교[5], 시지교[6], 신매교[7] 하저터널 깊이에 맞추어 설계되어서 문양역, 다사역, 정평역을 제외한 모든 역이 지하 20m 이상의 깊이에 위치하여 깊은 편이며, 경산 연장 구간도 영대교[8] 하저터널로 연결되기 때문에 하저터널이 많은 노선이다.[9] 이곡역, 수성구청역, 대공원역은 깊이가 30m 이상이다.[10] 만촌동 소재의 2개 역[11]들과 시지 구간의 역들은 연호역, 사월역을 제외하고 모두 곡선형 승강장이어서 열차와 플랫폼 사이의 단차가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한때 1호선보다 승차량이 조금 적었으나, 죽곡지구 신도시 개발에 따른 대실역 이용객 폭증, 경산시 면허 시내버스와 통합 환승이 가능해짐에 따른 사월역 이용률 증가[12], 영남대역 개업으로 1호선의 승객 수를 압도적으로 추월하여 1호선보다 이용객이 많게 되었다.[13]

개찰구는 거의 모든 역이 반대편과 횡단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졌으며, 27개 역[14]은 반대편 승강장과 횡단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졌다. 섬식 승강장을 갖춘 19개 역[15]은 승강장에서 반대 방면 열차로 갈아 탈 수 있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8개 역[16]은 대합실을 통과하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외된 2개 역[17]은 개찰구가 승강장별로 분리되어 있어서 개찰을 하지 않고서는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없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은 개통 당시부터 전 객차를 불연재 소재로 제작해 운행했다. 개통 2년 전인 2003년 2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방화 참사가 발생한 뒤, 전 객차에 제작 당시부터 불연재를 사용하였다.

4. 역 목록

(죽곡연합통증의학과)1번출구Daesil대실1.03.9219강창Gangchang江倉1.45.3달서구220계명대Keimyung Univ.啓明大1.36.6221성서산업단지
((주)엘엔에프)7번출구Seongseo Industrial Complex城西産業團地1.27.8222이곡Igok梨谷0.88.6223용산
(서부법원,검찰청입구,가정법원, 대구학생문화센터)Yongsan
(Seobu Br. Court·Seobu Prosecutors' Ofc.)龍山
(西部法院·檢察廳入口)1.39.9224죽전
(구병원)4번출구Jukjeon竹田0.910.8225감삼
(대구S한방병원)3번출구Gamsam甘三0.911.7226두류
(대구기독병원)12번출구Duryu頭流0.812.5227내당
(참튼튼병원)1번출구Naedang內唐0.913.4서구228반고개Bangogae반고개0.814.2달서구229청라언덕
(신남 • 척탑병원)9번출구Cheongna Hill靑蘿언덕3호선0.915.1중구230반월당
(스타법무법인)Banwoldang半月堂1호선1.016.1231경대병원
(미르치과병원)1번출구Kyungpook Nat'l Univ Hosp.慶大病院0.917.0232대구은행
(대구교육청)Daegu Bank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大邱銀行
(大邱敎育廳)1.118.1수성구233범어
(법원,검찰청,법무법인대륜)Beomeo泛漁1.019.1234수성구청
(KBS)Suseong-gu Office
(KBS)壽城區廳
(KBS)0.920.0235만촌
(국립대구박물관)Manchon晩村0.920.9236담티
(수성대·대륜)Damti
(Suseong College·Daeryun Middle & High School)담티
(壽城大·大倫)0.921.8237연호Yeonho蓮湖1.823.6238수성알파시티
(삼성라이온즈파크)Suseong Alpha City
(Samsung Lions Park)壽城알파시티
(三星라이온즈파크)1.024.6239고산Gosan孤山1.225.8240신매
(천주성삼병원)5번출구Simmae新梅1.126.9241사월Sawol沙月1.128.0242정평
(경산미르치과병원)Jeongpyeong正坪1.129.1경상북도경산시243임당
(경산시청,남매지공원)Imdang林堂1.230.3244영남대Yeungnam University嶺南大1.131.4


5. 노선 데이터

6. 차량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7. 운행

문양행과 영남대행이 주로 운행되며, 막차는 이곡행과 수성구청행이 운행된다. 차량기지문양차량사업소 하나만 운영하고 심야에 영남대역에서 3편성이, 사월역에서 2편성이 주박하는 것으로 대체하고 있다.[1] 문양차량기지는 경검수만 담당하며, 중검수는 해당 노선의 청라언덕역과 1호선의 명덕역 간의 연결선로를 통해 1호선의 월배차량사업소로 공차회송하여 실시한다. 다사역 방면 터널 입구에 차량기지 분기 선로가 설치되어 있으나, 현재는 입·출고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중검수가 필요한 2호선 열차를 1호선의 월배차량사업소까지 공차회송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하고 있다.[1] 지상 구간인 문양차량사업소문양역을 제외한 모든 구간이 지하 구간이다. 사드 배치에 대한 보상책으로 2호선 종점을 성주읍으로 연장하기 위해 추진 중이며 성주군에서는 개통일 이전부터 연장해 달라고 요구해 왔다.[2]

다른 노선과의 직통 운전은 시행하지 않는다.

8. 차량기지

문양차량사업소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유일한 차량기지이다. 영남대역에서 3편성, 사월역에서 2편성이 심야에 주박한다.[1] 경검수는 문양차량기지에서 담당하고, 중검수는 2호선 청라언덕역과 1호선 명덕역 사이의 연결선로를 통해 1호선 월배차량사업소로 공차회송하여 실시한다.[1] 다사역 방면 터널 입구에 차량기지 분기 선로가 있지만, 현재는 입·출고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중검수가 필요한 2호선 열차를 1호선 월배차량사업소까지 공차회송하는 용도로만 사용된다.[1]

참조

[1] 문서 영남대 방면
[2] 문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성주 연장 타당성 조사 결과
[3] 문서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청라언덕역 모노레일 고가 설치
[4] 문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대실역 ~ 강창역 구간
[5] 문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경대병원역 ~ 대구은행역 구간
[6] 문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고산역 ~ 신매역 구간
[7] 문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신매역 ~ 사월역 구간
[8] 문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정평역 ~ 임당역 구간
[9] 문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정평역 심도
[10] 문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이곡역, 대공원역 일대 지형
[11] 문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만촌역과 담티역
[12] 문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사월역 이용률 감소
[13] 뉴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연장…승객수 처음으로 1호선 추월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14] 문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문양역~대실역, 성서산업단지역~영남대역 구간
[15] 문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문양역, 사월역, 성서산업단지역~연호역 구간
[16] 문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다사역, 대실역, 대공원역~신매역, 정평역~영남대역 구간
[17] 문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강창역, 계명대역
[18]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