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도시철도 2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은 대구광역시의 도시 철도 노선으로, 1996년 1단계 구간 착공을 시작하여 2005년 10월 18일 1단계 구간(문양 ~ 사월)이 개통되었고, 2012년 9월 19일 2단계 구간(사월 ~ 영남대)이 개통되었다. 대실역부터 사월역까지의 구간은 달구벌대로 아래를 관통하며, 총 연장 31.4km, 29개 역으로 운행된다. 2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며, 문양역과 영남대역을 오가는 열차가 주를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도시철도 노선 - 대경선
대경선은 구미역과 경산역을 잇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2024년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한국형 열차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고 2량 대형 전동차를 운행하며, 현재 2단계 구간 사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고 일부 교통카드는 호환되지 않는다. - 대구 도시철도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경산시를 잇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단계별 개통을 거쳐 현재 설화명곡역에서 하양역까지 운행하며 2호선,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향후 금호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 20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부산 북부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노선으로 수영역과 대저역을 잇고, 1, 2, 4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동해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한국 최초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했고, 현재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로 운영 중이다. - 20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장성화물선
장성화물선은 전라남도 장성군에 있는 3.6km 길이의 한국철도공사 소속 화물 전용 철도 노선으로, 표준궤 단선에 ATS가 설치되어 있으며 안평역과 장성화물역 두 개의 무인역으로 구성되어 2005년 개통되었고 2019년에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서 운행되는 통근형 전동차이며, 2004년 10월부터 2005년 2월 사이에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어 6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연호역
연호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2005년 개통 이후 인근 군부대 위치로 인해 승객 수가 가장 적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노선 체계 | 대구 도시철도 |
노선 상태 | 운영 중 |
기점 | 문양역 |
종점 | 영남대역 |
역 수 | 29 |
노선 길이 | 31.4km |
궤간 | 1,435mm (표준궤) |
선로 수 | 복선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
신호 방식 | ATC/ATO |
운영 최고 속도 | 80km/h |
차량 기지 | 문양 차량 사업소 |
사용 차량 | 현대로템 2000호대 전동차 |
개통 정보 | |
개통일 | 2005년 10월 18일 (문양 ~ 사월) |
연장 개통일 | 2012년 9월 19일 (사월 ~ 영남대) |
운영 정보 | |
소유자 | 대구광역시 |
운영 기관 | 대구교통공사 |
2. 역사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은 1996년 1단계 구간(문양~사월) 착공을 시작으로, 2005년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반월당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이후 2단계 구간(사월~영남대) 연장, 역명 변경, 스크린도어 설치 등 시설 개선이 이루어졌다.
2. 1. 연혁
- 1996년 12월 19일 : 1단계 문양 ~ 사월 구간 착공
- 2005년 10월 18일 : 1단계 문양 ~ 사월 구간 개통과 함께 반월당역이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환승
- 2007년 6월 4일 : 2단계 사월 ~ 영남대 연장 구간 착공
- 2012년 1월 1일 : 성서공단역을 성서산업단지역으로 역명 변경
- 2012년 9월 19일 : 2단계 사월 ~ 영남대 연장 구간 개통
- 2014년 2월 28일 : 서문시장역을 신남역으로 역명 변경
- 2015년 4월 23일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함께 신남역이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환승
- 2017년 5월 25일 : 문양역을 제외한 28개 역사에 완전 밀폐형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
- 2017년 9월 13일 : 승·하차 화살표 바닥 교체 완료
- 2017년 11월 9일 : 천장 밀폐 완료
- 2019년 1월 7일 : 신남역을 청라언덕역으로 역명 변경
- 2024년 10월 10일 : 대공원역을 수성알파시티역으로 역명 변경
3. 특징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은 섬식 승강장이 많아 승강장에서 바로 반대 방향 열차로 갈아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예산 낭비라는 비판도 있다. 한때 1호선보다 승객 수가 적었으나, 죽곡지구 신도시 개발에 따른 대실역 이용객 증가, 경산시 시내버스와의 통합 환승에 따른 사월역 이용률 증가[12], 영남대역 개업으로 1호선을 추월하여 이용객이 더 많아졌다.[13]
대부분의 역에서 개찰구를 통해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 27개 역[14]은 반대편 승강장과 횡단 가능한 구조이며, 섬식 승강장 19개 역[15]은 승강장에서, 상대식 승강장 8개 역[16]은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나머지 2개 역[17]은 개찰구가 분리되어 있어 개찰 없이는 반대편으로 이동할 수 없다.
2003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방화 참사 이후, 2호선은 개통 당시부터 모든 객차를 불연재 소재로 제작하여 운행하고 있다.
3. 1. 구조적 특징
대실역부터 사월역까지의 구간은 달구벌대로 아래를 관통한다. 달구벌대로에 고가도로[3]가 설치될 것을 염두에 두고 단선 병렬 터널 방식으로 건설되었으며, 승강장 가운데에 있는 기둥도 고가도로의 하중을 버티기에 충분하도록 건설되었다. 문양역, 사월역, 성서산업단지 ~ 연호 구간 등 29개 역들 중 19개 역들이 섬식 승강장이다. 대부분의 구간이 강창교[4], 수성교[5], 시지교[6], 신매교[7] 하저터널 깊이에 맞추어 설계되어서 문양역, 다사역, 정평역을 제외한 모든 역들이 지상에서 20m 이상의 깊이에 위치하여 깊은 편이며, 경산 연장 구간도 영대교[8] 하저터널로 연결되기 때문에 하저터널이 많은 노선이기도 하다.[9] 이곡역, 수성구청역, 대공원역은 깊이가 30m 이상이다.[10] 만촌동 소재의 2개 역[11]들과 시지 구간의 역들은 연호역, 사월역을 제외하고 모두 곡선형 승강장이어서 열차와 플랫폼 사이의 단차가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3. 2. 운영 특징
대실역부터 사월역까지의 구간은 달구벌대로 아래를 관통한다. 달구벌대로에 고가도로[3]가 설치될 것을 염두에 두고 단선 병렬 터널 방식으로 건설되었으며, 승강장 가운데에 있는 기둥도 고가도로의 하중을 버티기에 충분하도록 건설되었다. 문양역, 사월역, 성서산업단지~연호 구간 등 29개 역 중 19개 역이 섬식 승강장이다. 이 때문에 승강장에서 바로 반대 방향 열차로 갈아탈 수 있지만, 예산 낭비의 효과도 가져왔다. 대부분의 구간이 강창교[4], 수성교[5], 시지교[6], 신매교[7] 하저터널 깊이에 맞추어 설계되어서 문양역, 다사역, 정평역을 제외한 모든 역이 지하 20m 이상의 깊이에 위치하여 깊은 편이며, 경산 연장 구간도 영대교[8] 하저터널로 연결되기 때문에 하저터널이 많은 노선이다.[9] 이곡역, 수성구청역, 대공원역은 깊이가 30m 이상이다.[10] 만촌동 소재의 2개 역[11]들과 시지 구간의 역들은 연호역, 사월역을 제외하고 모두 곡선형 승강장이어서 열차와 플랫폼 사이의 단차가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한때 1호선보다 승차량이 조금 적었으나, 죽곡지구 신도시 개발에 따른 대실역 이용객 폭증, 경산시 면허 시내버스와 통합 환승이 가능해짐에 따른 사월역 이용률 증가[12], 영남대역 개업으로 1호선의 승객 수를 압도적으로 추월하여 1호선보다 이용객이 많게 되었다.[13]
개찰구는 거의 모든 역이 반대편과 횡단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졌으며, 27개 역[14]은 반대편 승강장과 횡단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졌다. 섬식 승강장을 갖춘 19개 역[15]은 승강장에서 반대 방면 열차로 갈아 탈 수 있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8개 역[16]은 대합실을 통과하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외된 2개 역[17]은 개찰구가 승강장별로 분리되어 있어서 개찰을 하지 않고서는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없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은 개통 당시부터 전 객차를 불연재 소재로 제작해 운행했다. 개통 2년 전인 2003년 2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방화 참사가 발생한 뒤, 전 객차에 제작 당시부터 불연재를 사용하였다.
4. 역 목록
(죽곡연합통증의학과)1번출구
((주)엘엔에프)7번출구
(서부법원,검찰청입구,가정법원, 대구학생문화센터)
(Seobu Br. Court·Seobu Prosecutors' Ofc.)
(西部法院·檢察廳入口)
(구병원)4번출구
(대구S한방병원)3번출구
(대구기독병원)12번출구
(참튼튼병원)1번출구
(신남 • 척탑병원)9번출구
(스타법무법인)
(미르치과병원)1번출구
(대구교육청)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大邱敎育廳)
(법원,검찰청,법무법인대륜)
(KBS)
(KBS)
(KBS)
(국립대구박물관)
(수성대·대륜)
(Suseong College·Daeryun Middle & High School)
(壽城大·大倫)
(삼성라이온즈파크)
(Samsung Lions Park)
(三星라이온즈파크)
(천주성삼병원)5번출구
(경산미르치과병원)
(경산시청,남매지공원)